1월 20일 방송된 tvN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럭' 90회에는 신축년 '소' 특집을 맞아 소처럼 우직하게 서예의 길만 걷고 있는 서예가 이정화 씨가 출연했습니다.
이날 이정화 씨는 7살때부터 31살 지금까지 쭉 서예를 해왔다고 합니다. 아버지가 서예 학원을 하신 덕에 어린 나이부터 서예를 접할 수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그녀의 아버지 송민 이주형 선생은 '허준', '대장금', '군도', '나랏말싸미', '별순검'에 들어가는 글씨를 작업한 유명한 서예가였습니다.
유퀴즈 방송 캡쳐
유퀴즈 방송 캡쳐
이정화 씨 역시 그의 아버지 못지 않게 유명한 작품들에 글씨 작업을 했다고 합니다.
이정화 씨는 자신이 작업한 작품들로 '동이', '뿌리 깊은 나무', '해를 품은 달', '기황후', '아랑사또전', '호텔델루나', '미스터 션샤인', '신입사관 구해령', '육룡이 나르샤'를 언급, 한효주, 아이유, 김태리의 대필을 맡았다고 합니다.
서예가 이정화, '프리랜서 생계 유지 어려워... 하지만 지키고파'
하지만 이렇게 유명한 작품들을 도맡고도 썩 벌이는 괜찮지 않다는 전했습니다. 이정화 씨는 드라마, 영화에 대필로 참여할 경우 일당으로 돈을 받는다며 "수입이 많지 않아 조금씩 먹고 살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유퀴즈 방송 캡쳐
유퀴즈 방송 캡쳐
이어 "저는 쉽게 말해 프리랜서니까. (서예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점점 떨어지니까 생계 유지가 많이 안 된다. 어느날은 한 달에 20만 원도 못 벌 때가 있다. 나이가 있으니 용돈도 못 받고 그걸로 사는 거다. 제가 더 힘든 건, 제가 가장 지키고 싶은 마음이 순수한 마음이다. (그런데) 제가 나이도 먹고 어떤 상황에 처할 때 그런 순수한 마음이 자꾸 작아질 때 두려움이 커진다"고 고백하기도 했습니다.
이정화 씨는 언젠가 서예가 반드시 필요해질 거라는 믿음 속에 희망을 놓치 않고 버티고 있는 긍지를 전해 자신만의 길을 묵묵히 가는 강인한 모습을 보여 큰 울림을 주기도 했습니다. 한편 이정화 씨는 생계 유지는 힘들어도 자신의 일에 대해 자랑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서예가 하는일
서예가는 진서, 초서, 예서 등의 필법으로 먹과 붓을 이용하여 화선지에 시나 시조 등을 쓰거나 사군자를 그리는 일을 합니다. 또 완성된 작품에 대하여 표구를 의뢰하기도 하고 전시회를 개최하기도 합니다.
서예가 적성 및 흥미
서예가가 되려면 우선 타고난 창의력과 예술적 감각이 요구되며, 고전을 연구하여 자신의 필체로 표현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을 필요하게 되므로 꾸준히 노력하는 자세와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또한 각종 예술 작품에 대한 흥미는 물론이고 풍부한 상상력과 창의력을 기르기 위해 문학작품, 영화, 디자인 등 다양한 문화예술장르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외 예술형과 탐구형의 흥미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하며, 혁신, 독립성, 정직, 성취 등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에게 서예가가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서예가 되려면?
서예가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학력의 제한은 없지만, 대학교의 서예학과에 진학하여 전문적으로 서예에 대한 교육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관련학과는 동양화과, 미술학과, 회화학과가 있습니다. 서예가가 되기 위해 요구되는 국가공인자격증은 따로 없습니다.
서예가 활동 및 미래 전망
공모전을 통해 서예가로 등단하거나 서예 학원 등을 운영하면서 창작활동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서예가는 캘리그라피가 디자인의 한 영역으로 자리 잡으며 서체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지만 서예를 배우는 사람들이 감소하여 향후 서예 인구의 증가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청년 일자리 고민 해결을 위한 '청년맞춤형지원'이란? (+신청방법,지원금) (0) | 2021.02.02 |
---|---|
연간 2만명이 응시하는 '이 자격증' 정체(+시험활용처) (0) | 2021.01.26 |
'억대 매출' 직장인 부업으로 인기인 "OO의 정체" (+수익공개) (0) | 2021.01.18 |
3차 지원금 "특고, 프리랜서 받을 수 있다" 신청 방법은? (+지급액) (0) | 2021.01.14 |
집값 나날이 상승...공인중개사가 하는 역할은? (0) | 2021.01.13 |
댓글 영역